반응형
1.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및 지원금액
-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를 지원하며,
- 생계급여는 중위소득 32% 이하 가구에 매달 지급됩니다 (예: 1인 가구 약 70만 원)
- 2025년에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최대 50만 원(민생회복지원금 포함)의 추가 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.
2. 기초생활수급자 민생회복지원금
- 정부의 2025년 추가경정예산에 따라, 기초생활수급자는
- 1차로 기본 지급 40만 원
- 2차로 추가 지급 10만 원
- → 총 50만 원 수령 가능성이 높습니다 .
- 지급 시기는 7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, 정확한 일정은 정부 공지 확인 바랍니다.
3.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1인 가구
- 1인 가구의 경우 생계급여 기준 약 70만 원에,
- 추가 민생회복지원금 50만 원이 합쳐져 월 최대 120만 원 이상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- 다만, 지급 방식(선불카드·지역상품권 등) 및 지자체별 추가 지원 여부는 각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.
4. 기초생활수급자 긴급생활지원금
- 긴급상황 발생 시, 지자체별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생활 안정에 문제 없도록 긴급지원이 이루어집니다.
- 관련 요청은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에서 가능합니다.
- 위기 가구에게 맞춤형 현금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.
5. 기초생활수급자 매달 지원금
- 정기지원 항목:
- 생계급여 : 기준 중위소득의 32%
- 1인 가구 기준 최대 : 765,444원
- 의료급여 : 기준 중위소득의 40%
- 1인 가구 기준 최대 : 956,805원
- 주거급여 : 기준 중위소득의 48%
- 1인 가구 기준 최대 : 1,148,166원
- 교육급여 : 기준 중위소득의 50%
- 1인 가구 기준 최대 : 1,196,007원
- 생계급여 : 기준 중위소득의 32%
- 지급 시기는 매월 계좌 입금을 원칙으로 합니다.
- 실제 받는 급액
- 생계급여: (기준 - 소득인정액) 만큼 차등지급
- 의료, 주거, 교육 : 기준 금액에서 필요 여부와 가구 실정에 따라 산정 됩니다.
신청방법 및 지급일 조회방법
▶ 1) 온라인 신청 (복지로 또는 보조금24 웹/앱)
▶ 2) 오프라인 신청 (주민센터 방문)
- 신분증 + 소득·재산 증빙 서류 지참 후 주민센터 방문 신청.
- 신청서 제출 후 30일 이내, 특별 사유 시 최대 60일 내 선정 결과 통지.
▶ 3) 지급일 조회
- 신청 후 복지로 또는 **이용기관(주민센터)**에서 지급 예정일 확인 가능.
- 민생회복지원금 등 추가 지원금의 경우, 통상 7월~8월 내 지급 시작 예정 .
마지막 팁 및 유의사항!!
- 중복 수급 여부 꼭 확인하세요
(예: 긴급지원 vs. 정기지원, 지자체 자체 지원) - 일부 인구소멸지역 거주자는 추가 2만원 지원 가능
- 지자체별 안내도 필수: 일부 지역에서는 별도 지원금을 추가로 제공합니다.
- 연락 가능한 창구
- 복지로 상담센터 ☎129
- 각 시·군·구 주민센터
- 신청조건: 중위소득 및 재산 기준
- 신청방법: 온라인(www.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
- 지급시기: 정기급여는 매월, 민생회복지원금은 7월 중순 이후 순차 지급
2025.07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[빚 탕감 조건 총정리] 신청 방법부터 소상공인·자영업자 90% 감면, 7년 이상 연체자 전액 탕감까지
[빚 탕감 조건 총정리] 신청 방법부터 소상공인·자영업자 90% 감면, 7년 이상 연체자 전액 탕감까
코로나 이후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에 따른 서민·소상공인의 부담을 덜기 위해, 현 정부는 “7년 이상 연체·5000만 원 이하” 장기연체자 전액 탕감과 **“중위소득 60% 이하 소상공인 최대 90% 감
eggnight.eggmoney.life
2025.07.01 - [분류 전체보기] - 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과 수령나이 및 금액의 계산방법 및 신청방법 총정리 (기초연금과의 차이까지)
반응형